본문 바로가기

본당로고

로고의 상징적 의미
로고는 기본적으로 등촌동의 어원인 등마루(산마루)와 그 옆은 흐르는 한강의 모양을 응용해서 표현 했으며,
그리스도교의 상징중의 하나인 물고기를 본뜬 모양이기도 합니다.
또한, 세가지 선은 성부,성자,성령의 trimity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로고는 아래와 같이 흰배경의 positive 형태와 block을 이용한 negative 형태의 2가지 방법으로 응용될 수 있습니다.
이용된 자주빛 색상은 새 성전 조감도에 나와있는 지붕의 색을 참조한 것입니다.
흑백으로 적용될 경우, 자주빛 대신 검정색으로 표현되어질 수 있습니다. Wordmark (글자디자인)
글자는 로고의 선과 같은 굵기의 선을 이용, 로고와 함께 쓰였을 때 어울리는 스타일로 디자인했습니다.
영문의 경우, 디자인의 일관성을 살리고 한글디자인과 함께 쓰일때 서로 어울리도록 하기 위해서 한글디자인의 스타일을 그대로 적용하여 새로 디자인했습니다. 적용예 아래의 여러가지 적용 예들은 로고와 로고타입이 함께 쓰일 때, 효과적인 조합을 통해 일관된 이미지 형성을 위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따라서, 언제나 아래에 예시된 색상과 비례규정에 따라 정확하게 사용되는 것이 요구됩니다.
positive와 negative 로고, 그리고 큰 글자와 작은 글자, 한글과 영문, 그리고 컬러와 흑백의 매체에서 사용될 경우를 나누어서 보여드립니다.
등촌1동성당 로고디자인의 기본조합은 위에서 보여드린 8가지입니다.
특별한 제약이 없는 경우에는 위의 적용 예를 따라주시기 바랍니다.

공간적인 제약이나 기타 특별한 이유로 인해 로고와 글자가 가로로 쓰여져야 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반드시 negative로고를 사용해주세요.
영문 워드마크는 보충적인 기능을 위해 디자인되었기 때문에 보다 단순한 아름다움을 위해서는 되도록 사용을 자제하시길 권합니다.
영문이 꼭 필요한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조합을 이용해주세요.
Color Data black
print: C:0 M:0 Y:0 K:100
Web: #000000
purple
print: C:10 M:100 Y:10 K:0
Web: #cc0066 변형불가 예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잘못된 작은 변형이 전체 디자인요소의 조화와 통일성을 크게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아래의 예들은 그러한 잘못된 변형을 막기 위해 보여드리는 것입니다.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디자인을 변형하지 말아주시기 바랍니다.
(1) 임의로 색상을 바꾸거나, 로고와 글자의 색상을 서로 뒤바꾸지 마세요.
(2) 좌우, 상하 폭의 비율을 임의로 조절하지 마세요.
(3) 글자디자인을 임의로 나누거나 자르지 마세요.
(4) 위에서 보여드린 적용예에서 예시되지 않은 임의의 변형은 가능한한 피해주세요.
디자이너 소개 section p의 아트디렉터이자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는 김준형(June Kim)은 뉴욕의 School of Visual Arts와 Pratt Institute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공부했으며, The New York Times와 ABCNEWS.com, Paul Davis Studio에서 인턴으로 일했습니다.
웹 프로그래머이자 디자이너의 역할을 맡고 있는 주보연(Boyeon Joo)은 대학에서 전산을 전공한 후 서울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머로 일했고, 뉴욕 Parsons School of Design의 Design & Technology 석사과정을 마쳤습니다.
section p의 디자이너들은 Type Directors Club, Adobe Design Achievement Awards, STEP inside Design 100 Competition, BDA Design Awards, The Big Crit Awards를 비롯한 국내외 10개 이상의 디자인 컴피티션에서 수상하였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